본문 바로가기
Geniesstorybook

성실함의 배신, 열심히 살아온 당신에게 보내는 냉정한 경고

by geniestory 2025. 8. 5.
728x90

설실함의 배신 리뷰

“최선을 다했는데, 왜 나는 항상 지쳐 있을까?” “성실하게 살았는데, 왜 만족감은커녕 공허함만 밀려올까?” 젠 신체로(Jen Sincero)의 성실함의 배신은 우리가 믿어왔던 ‘성실’과 ‘노력’이라는 미덕의 이면을 파헤치는 통찰의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목적 없는 성실함은 독이 될 수 있다”고 말하며, 우리가 무심코 따르고 있는 ‘완벽주의적 성실함’이 삶을 피폐하게 만들 수 있다고 경고한다.

성실함이라는 이름의 통제 욕구

많은 사람들은 성실함을 미덕으로 여긴다. 성실한 학생, 성실한 직장인, 성실한 부모... 그러나 이 성실함이 도를 넘으면, 그것은 자기 통제에 중독된 상태가 된다. 저자는 이를 “완벽주의의 또 다른 얼굴”이라 표현한다.

항상 계획대로 해야 한다는 강박

•  남들에게 좋은 사람으로 보이기 위한 무리한 헌신

휴식조차 죄책감을 느끼며 쉬는 태도

이런 태도는 자존감을 깎아내리고, 자신이 누구인지조차 잊게 만든다. 저자는 말한다.

“당신이 성실한 이유는 대개 ‘무엇이 옳은지’가 아니라 ‘불안해서’일 것이다.”

우리는 왜 이렇게까지 성실하려고 애쓸까?

젠 신체로는 우리가 너무 많은 외부 기준에 의해 조종당하고 있다고 말한다.부모의 기대, 사회의 기준, SNS 속 ‘성공한 사람’의 이미지. 이 모든 것이 ‘성실해야 한다’는 압박으로 작동한다. 결국 우리는 내 삶의 주인이 아닌, 타인의 시선에 최적화된 인생을 살게 되는 것이다.

“좋은 대학 가야 해”

“회사에서 인정을 받아야 해”

“아이를 잘 키워야 해”

이 모든 문장엔 내가 원하는 게 빠져 있다.

젠은 묻는다. “당신의 삶에서 ‘당신’은 어디에 있습니까?”

성실함은 수단일 뿐, 목적이 되어선 안 된다

성실함은 분명 가치 있는 태도다. 하지만 문제는, 그 성실함이 나를 위한 것인지, 남을 위한 것인지 구분하지 못할 때 생긴다. 자신의 감정을 무시한 채 매일같이 일정과 책임에 시달리다 보면, 몸은 지치고 마음은 무감각해진다.이 책은 이를 ‘감정적 마비 상태’라고 설명한다. 우리는 이렇게 “나를 버리는 대가로 타인을 만족시키는 삶”을 살아간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더 열심히 해야 해”라고 자신을 몰아붙인다.

멈춰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성실함의 배신이 전하는 핵심 메시지는 단순하다.

“가끔은 멈춰야 한다.”

하고 있는 일이 진짜 내가 원하는 일인지

지금 이 선택이 나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냥 자동적으로 굴러가는 ‘해야 할 일’인지

젠 신체로는 ‘감정적 정직함’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즉, 내 감정에 솔직해지는 것.

억지로 긍정하거나, 아무렇지 않은 척하지 말고, 때로는 “이게 싫다”, “힘들다”, “내가 뭘 원하는지 모르겠다”고 스스로에게 고백하라는 것이다.

진짜 성실함은 ‘나를 지키는 성실함’

젠 신체로는 성실함 자체를 부정하지 않는다. 다만, 목적 없는 성실함, 남을 위한 성실함, 자기 착취적 성실함을 경계하자고 강조한다. 진짜 성실함은 타인에게 잘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나답게 살기 위한 수단이어야 한다. “당신이 통제해야 할 대상은 삶이 아니라, 당신 안의 불안이다.” 이 말은 곧 ‘나를 향한 친절’에서 진짜 변화가 시작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마무리하며

성실함의 배신은 우리가 그동안 ‘좋은 삶’이라 믿었던 신념을 되돌아보게 한다.

왜 이렇게 피곤한가?

나는 왜 쉬는 게 불편한가?

지금의 삶이 정말 내가 원한 것인가?

이런 질문 앞에서 멈추는 용기, 그리고 나를 위한 성실함으로 삶을 다시 정돈하는 일. 그것이 이 책이 말하는 ‘잃어버린 통제감을 되찾는 법’이다. 지금, 당신의 삶은 누구를 위해 성실한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