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자기이해3

에리히 프롬 사랑의 기술,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기술이다 사랑의 기술리뷰우리는 흔히 사랑을 운명이나 감정의 문제로 여깁니다. "그 사람을 사랑하게 되었다", "사랑이 식었다" 같은 표현이 그렇죠. 하지만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은 전혀 다르게 말합니다. 그는 사랑을 하나의 ‘기술(art)’로 보았습니다. 즉, 배워야 하고, 연습해야 하고, 깊이 이해해야 하는 삶의 행위라는 것이죠.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은 사랑에 대한 오해를 걷어내고, 성숙한 사랑으로 가는 길을 안내하는 철학적·심리학적 고전입니다.에리히 프롬은 누구인가?에리히 프롬(1900~1980)은 독일 출신의 사회심리학자, 정신분석가, 철학자입니다. 그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 마르크스주의 사회비판을 결합한 독창적인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인간의 자유, 고독, 소외 문.. 2025. 6. 25.
자기결정, 나답게 산다는 것, 페터 비에리의 깊은 철학 자기결정 리뷰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씩 선택을 하며 살아갑니다. 작은 점심 메뉴부터 직업, 인간관계, 삶의 방향까지. 그런데 이 선택이 과연 온전히 '나의 의지'에서 비롯된 것일까요? 페터 비에리(Peter Bieri)는 이 질문을 깊이 있게 파고듭니다. 그의 책 자기결정은 우리가 진정으로 '자기 인생의 주인'으로 살아가려면 무엇이 필요한지를 철학적으로 탐구한 작품입니다.철학자, 작가, 인간 – 페터 비에리페터 비에리는 1944년 스위스에서 태어나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친 독일의 철학자입니다. 그는 인식론과 자유의지를 주요 주제로 연구했으며, '파스칼 메르시어(Pascal Mercier)'라는 필명으로 소설 리스본행 야간열차를 쓰기도 했습니다. 그는 철학을 삶과 분리된 학문이 아닌, 삶을 깊.. 2025. 6. 23.
자기 인식, 진짜 나를 마주하는 힘 요즘 "자기 계발"이라는 말은 익숙하지만, 그보다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자기 인식(self-awareness)입니다. 자기 인식은 나를 변화시키는 출발점이며, 삶의 방향을 바로잡는 나침반과도 같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정말 ‘자기 자신’을 잘 알고 있을까요?자기 인식이란?자기 인식이란 자신의 감정, 생각, 행동, 성격, 강점과 약점 등을 정확히 인지하고 이해하는 능력입니다. 다시 말해,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는 지금 무엇을 느끼고 왜 이런 행동을 했는가?"와 같은 질문에 스스로 대답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단순한 자기소개가 아니라, 내가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고, 어떤 상황에서 흔들리는지를 아는 깊은 자각입니다.왜 자기 인식이 중요한가?1. 감정 조절의 출발점우리는 감정에 휘둘릴 .. 2025. 6.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