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Geniesstorybook32

윤홍균 자존감 수업, 나를 사랑하는 연습의 시작 자존감수업 리뷰요즘 유난히 마음이 지치는 날들이 많아졌다면, 혹시 나 자신을 소홀히 대하고 있지는 않았는지 돌아보게 됩니다. 우리는 타인의 시선과 기대에 맞추느라 정작 ‘나’의 목소리는 외면한 채 살아갈 때가 많죠. 오늘 소개할 책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윤홍균 원장이 쓴 자존감 수업입니다. 이 책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법”에 대해 구체적이고 따뜻한 안내를 해주는 자존감 회복서입니다.자존감이란 무엇인가?윤홍균 작가는 자존감을 단순히 “나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이라고 정의합니다. 자존감은 크게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1. 자기 효능감: 나는 할 수 있다는 믿음2. 자기 존중감: 나는 존재 자체로 소중하다는 믿음이 두 가지가 균형 있게 자리를 잡아야 건강한 자존감이 형성되며,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긍.. 2025. 6. 20.
윤홍균 마음지구력 , 지치지 않고 살아가기 위한 내면의 근육 마음지구력 리뷰“몸의 지구력이 체력을 좌우하듯, 마음의 지구력은 삶의 방향을 바꾼다.”오늘도 버겁고, 사람에 치이고, 나 자신을 잃어가는 느낌이 드는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피곤한 하루가 반복된다면, 이제는 마음의 회복력이 필요할 때다. 말씀은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자존감 수업 등으로 수많은 독자에게 위로와 실용적 조언을 전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윤홍균 작가는 이번 책 마음지구력을 통해 지치지 않는 마음을 만드는 법을 이야기한다.마음에도 근력이 필요하다윤홍균 작가는 ‘지구력’이라는 단어를 단지 운동 능력에만 국한하지 않는다. 그는 말한다. “마음도 버틸 수 있어야 하고, 다시 회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마음의 지구력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감정의 파도에 휩쓸리지 않고 중심을 잡는 힘, 위기.. 2025. 6. 17.
감정을 이해하면 삶이 바뀐다, 마크 브래킷의 감정의 발견 감정의 발견 리뷰“감정은 사소한 것이 아니라,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힘이다.” 우리는 매일 기분을 느끼고 감정에 휩쓸리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그 감정을 정확히 인식하거나 다루는 법을 배우지 못한 채 자라왔죠. 미국 예일대학교 감정지능센터장 마크 브래킷(Marc Brackett)은 감정의 발견(Permission to Feel)에서 이렇게 말합니다.“감정은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허락하고 이해하고 표현해야 할 존재다.” 감정을 억누르는 사회 많은 사람들은 감정을 불편하게 여깁니다.• “ 괜히 예민하게 굴지 마.”• “남자가 왜 울어?”• “감정에 휘둘리지 말고 이성적으로 생각해.” 이런 말은 감정을 억누르고 무시하게 만드는 문화를 드러냅니다. 하지만 마크 브래킷은 감정을 무시할수록 더 큰 문제가 .. 2025. 6. 14.
성공을 바꾸는 힘, 캐럴 드웩 마인드셋 마인드셋 리뷰“나는 원래 수학을 못해.”, “나는 이런 일에 소질이 없어.”, 이런 말, 한 번쯤 해보신 적 있지 않나요?미국 스탠퍼드대학교의 심리학자 캐럴 드웩(Carol Dweck)은 이러한 생각의 틀, 즉 ‘마인드셋(Mindset)’이 인생을 바꾸는 열쇠라고 말합니다. 그녀는 30년 넘게 ‘성공, 실패, 태도’의 관계를 연구하며 인간이 성장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어떤 마음가짐을 갖고 있는가’라는 점을 밝혀냈습니다.마인드셋이란?마인드셋은 말 그대로 ‘세상을 바라보는 고정된 사고방식’을 뜻합니다. 캐럴 드웩은 인간의 마인드셋을 두 가지로 나눴습니다.1. 고정 마인드셋(Fixed Mindset) 이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은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며, 변하지 않는다고 믿습니다.• "나는 머리가 안 좋아서.. 2025. 6. 13.
리스본행 야간열차, 인생의 방향을 바꾸는 단 한 번의 선택 리스본행 야간열차 리뷰“지금 떠나야 해. 더 늦기 전에.”이 문장은 우리 모두의 마음속 어딘가에 스며들어 있는 말입니다.바쁜 일상 속에서 스스로를 잊고 사는 사람들에게, 한 번쯤은 떠나라고, 자신을 찾아야 한다고 속삭이는 그 목소리. 페터 비에리(필명 파스칼 메르시어)의 장편소설 리스본행 야간열차는 그 목소리를 따라 일상을 벗어나 진정한 삶의 의미를 추적해가는 여정을 그린 작품입니다.줄거리 요약주인공 라이문트 그레고리우스는 스위스 베른의 고전어 교사입니다. 수십 년간 반복된 안정된 삶을 살아온 그가 어느 날, 우연히 포르투갈 작가 아마데우 프라도의 책을 손에 넣습니다. 그리고 갑작스레 충동적으로, 리스본행 야간열차에 몸을 싣습니다. 그가 리스본에서 찾으려는 것은 단지 어떤 남자의 흔적이 아니라, 그 책을.. 2025. 6. 3.
당신의 인생을 결정짓는 생각의 틀, 프레임 - 최인철 프레임 리뷰“당신이 세상을 보는 방식이, 곧 당신의 세상이다.” 이 말은 최인철 교수의 책 프레임을 관통하는 핵심 문장입니다. 우리는 모두 세상을 바라보는 ‘창’이 다릅니다. 그 창이 바로 ‘프레임(frame)’입니다. 이 책은 그 보이지 않는 인식의 창, 즉 프레임이 어떻게 우리의 판단, 선택, 감정, 인생까지도 좌우하는지를 흥미롭고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프레임이란 무엇인가?프레임에서 말하는 “프레임”이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 해석하는 틀입니다. 같은 사실도 어떤 프레임을 통해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과 결론을 가지게 되죠. 예를 들어, “70% 성공률”이라는 말과 “30% 실패 확률”이라는 말은 수치상 같지만,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과 선택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이처럼 프레임은 현실을 왜.. 2025. 6. 2.
728x90